■ 진행 : 함형건 앵커 <br />■ 출연 :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br />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운지]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 <br /> <br />주요 경제 이슈,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와 짚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주요 국가와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 동향과 전망 차례로 먼저 짚어보겠습니다. 일단 중국은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사실상의 기준금리라고 하죠. 5년 만기 대출우대금리, 예상보다 큰 폭으로 인하했습니다. 어떻게 보셨습니까? <br /> <br />[김광석] <br />정말 중국 경제가 굉장히 심각한 경기침체와 또 물가 하락이라는 디플레이션 상황에 놓여 있구나라고 스스로 지각한 것이라고 판단하고요, 첫 번째. 두 번째는 그만큼 경기가 둔화됐으니 좀 더 본격적으로 경기를 회복시켜야겠다 하는 의지가 표명됐고요. 더 중요한 것은 앞에 말씀하신 것처럼 1년 만기의 경우에는 그대로 뒀지만 5년 만기를 대폭 인하했습니다. 1년 만기의 경우에는 주로 일반대출에 활용되고요. 5년 만기 LPR이 주로 주택담보대출로 활용됩니다. 그러니까 이렇게 그러니까 1년 만기는 그대로 두고 5년 만기 기준금리 성격의 LPR만 급격히 인하했다는 것은 그만큼 중국의 얼어붙은 부동산 경기를 회복시키고자, 진작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표명된 것이다. 이렇게 표현해 볼 수 있겠습니다. <br /> <br /> <br />그러면 중국의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내수침체가 심화하고 있기 때문에 그 배경이 있는 건데 얼마나 부진합니까? <br /> <br />[김광석] <br />숫자로 몇 가지 말씀드리면 대표적으로 1월 주택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45%나 급감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24년 1월이 23년 1월보다 45% 감소했다고 했는데 23년 1월도 전월보다 감소했었거든요. 그만큼 계속 판매가 되지 않고 있다. 판매가 되지 않고 있는데 특히 일부 지방 같은 경우는 주택재고를 완전히 해소하려면 정상적인 경우 10년 정도 걸리겠다고 추산까지도 합니다. 당연히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신규투자는 급감하고 있죠. 대략 한 10% 정도 급감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중국 GDP에 구성되는 항목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 그러니까 중국 경제가 고성장을 하기 어려운. 중성장에서 저성장으로 치닫게 만드는 소위 고꾸라지는 중국 경제라고 표현하죠. 그런 모습을 보여주는 근거들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br /> <br /> <br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40221195343783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